직원들과 머리를 맞대고 밤낮없이 준비하고, 지인들에게 수소문해 인증원을 선정하고, 회사 자료까지 하나하나 정리하느라 고생 많으셨죠? 이제 남은 건 심사뿐인데, 심사일수와 비용이 어떻게 정해지는지 알고 계신가요?
예상보다 길어진 심사 일정, 생각보다 높은 심사비용이 기업에 부담이 될 수도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ISO 심사일수 산정 방식과 심사비용의 구조를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심사 비용 절감 팁까지 확인해 보세요!🌟
심사일수 계산법, 인증 심사 전 꼭 확인하세요
ISO 인증 심사에서 심사일수(Audit Duration)와 심사비용(Audit Cost)은 정말 중요한 요소예요. 심사일수는 인증원이 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QMS)이나 기타 경영시스템이 ISO 표준을 준수하는지 평가하는 데 필요한 총일수를 말하는데, 심사일수에 따라 심사비용이 결정되거든요.💰
ISO 심사일수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 산정되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어요.
1. 조직의 규모(직원 수)👥
• 일반적으로 직원 수가 많을수록 심사일수가 증가해요.
• 국제인정포럼(IAF)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심사일수가 계산돼요.
Ex) ISO 9001 심사 시 아래 기준이 적용돼요!
유효직원 수(명) | 심사기간 (1+2단계, M/D) | 유효직원 수(명) | 심사기간 (1+2단계, M/D) |
---|---|---|---|
1 - 5명 | 1.5일 | 625 – 875명 | 12일 |
6 - 10명 | 2일 | 876 – 1175명 | 13일 |
11 - 15명 | 2.5일 | 1176 – 1550명 | 14일 |
16 - 25명 | 3일 | 1551 – 2025명 | 15일 |
26 - 45명 | 4일 | 2026 – 2675명 | 16일 |
46 - 65명 | 5일 | 2676 – 3450명 | 17일 |
66 – 85명 | 6일 | 3451 – 4350명 | 18일 |
86 – 125명 | 7일 | 4351 – 5450명 | 19일 |
126 - 175명 | 8일 | 5451 – 6800명 | 20일 |
176 – 275명 | 9일 | 6801 – 8500명 | 21일 |
276 – 425명 | 10일 | 8501 – 10700명 | 22일 |
426 - 625명 | 11일 | 10700명 초과 | 위와 같이 증가 |
*유효직원 수에는 교대조를 포함해 인증 범위에 포함된 모든 정규, 비정규(계절직, 임시직, 계약직) 및 파트타임 직원이 포함됩니다.
**1단계 심사는 사전 점검의 성격이 강하고, 본격적인 인증 심사는 2단계에서 진행됩니다.
2. 사업장의 수 및 복잡성🏢
• 단일 사업장인지, 여러 개의 사업장을 운영하는지에 따라 달라져요.
• 어떤 사업장인지에 따라 추가 심사일수가 발생할 수 있어요.
3. 적용되는 ISO 표준📜
• ISO 9001(품질경영), ISO 14001(환경경영), ISO 45001(안전보건경영) 등 표준마다 심사일수 산정 방식이 다를 수 있어요.
• 두 개 이상의 인증을 동시에 받는 경우 중복 심사를 줄여 심사일수가 조정될 수 있어요.
4. 조직의 복잡성 (리스크 수준 및 산업군)⚠️
• 단순한 사무 기반 기업과 제조업/건설업과 같은 복잡한 산업군은 심사 난이도가 달라요.
• 리스크가 높거나 공정이 복잡한 의료기기, 자동차 산업의 경우 심사일수가 증가할 수 있어요.
5. 기존 인증 여부 및 유지 심사✅
• 최초 인증 심사인지, 갱신 심사인지에 따라 심사 일수가 달라져요.
• 기존에 ISO 시스템을 잘 운영해 오던 기업이라면 심사일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요.
💡
우리 기업의 심사일수 계산해봐요!
부담스러운 심사비용, 왜 이렇게 책정되는 건가요?
이렇게 정해진 심사일수에 따라 심사비용이 결정되는데요. 심사비용은 기본적으로 인증원이 정한 일일 심사 비용에 심사일수를 곱한 값으로 결정돼요.
📌 심사비용 = 심사일수 × 인증원 심사 비용 (일당)
또한 인증원 간 비용 차이, 심사 방식, 출장 비용 등 다양한 요인이 심사 비용이 결정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인증원 간 비용 차이: 글로벌 인증원과 국내 인증원의 비용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 심사 방식(현장심사와 원격심사): 원격심사가 가능하면 일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요.
- 출장 비용: 사업장이 여러 곳이거나 인증원과의 거리가 멀다면 교통비나 숙박비 등의 출장 비용이 추가될 수 있어요.
이 외에도 사전 심사를 받거나, 주요 부적합 사항이 발생해 재심사를 받는 경우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만약 심사일수나 비용을 절감하고 싶다면, 아래의 팁을 참고해 보세요!
ISO 심사일수 및 비용 절감 Tip💡
🛠️철저한 사전 준비는 필수!
• 인증원의 심사 전 내부 감사를 수행해 부적합 사항을 최소화해요.
• 누락된 문서는 없는지, 기록이 부족하진 않은지 꼭 확인해요.
→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어요!🔄통합 심사를 활용해요
• 두 가지 인증을 동시에 받으면 중복되는 일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요.
• 요즘은 ISO 9001 + ISO 14001 + ISO 45001 세 가지 인증을 함께 따는 추세랍니다!🏗️사업장을 통합 관리해요
• 사업장을 통합해서 관리하게 되면 불필요한 추가 심사를 제거해 심사 일수를 단축할 수 있어요.
오늘은 ISO 심사일수 산정 방식과 심사비용 책정 기준을 알아봤어요. 어떤 인증을 취득하는지, 직원 수는 얼마나 되는지, 사업장 규모는 어떤지에 따라 심사일수와 비용이 달라진다는 점 기억하시죠?
특히, 통합 심사를 활용하면 중복되는 일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니, 우리 기업에 필요한 인증을 한 번에 취득하는 방향도 고려해 보면 좋을 거예요. 오랜 시간 공들여 준비한 만큼, 심사 과정도 제대로 이해하고 한 번에 통과하시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