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인증 비용, 얼마나 드나요?

ISO 인증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
김성하's avatar
Feb 18, 2025
ISO 인증 비용, 얼마나 드나요?

ISO 인증 비용은 조직의 규모와 복잡성, 인증 범위, 선택한 표준 또는 표준들(통합 수준), 선택한 인증 기관, 위치 등 여러 요소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무엇이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인증 비용, 어떤 요소에 따라 달라질까요? 🤔

1. 받고자 하는 ISO 인증 종류 📜

받고자 하는 ISO 인증 종류에 따라 인증 비용이 달라질 수 있어요. 각각의 인증마다 확인해야 할 사항이나 필요한 전문가가 다르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과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은 검토해야 할 내용도 다르고, 필요한 전문성도 달라서 인증 비용이 다르게 책정된답니다.

  • ISO 9001(품질경영): 기본적인 인증이라 비교적 비용이 저렴해요.

  • 🌿 ISO 14001(환경경영): 환경 영향 평가 등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어요.

  • 🔒 ISO 27001(정보보안): 보안 시스템 구축 등 기술적 투자가 필요할 수 있어요.

💡

여러 인증을 한 번에 받으면 20-30% 정도 비용을 아낄 수 있어요. 심사도 한 번에 받고, 문서 작업도 줄일 수 있거든요!

2. 회사의 업종 🏭

규제가 많은 산업이나 복잡한 공정이 있는 업종은 더 자세한 문서작업심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이런 경우 인증 비용이 더 높아질 수 있답니다.

  • 🏭 제조업: 생산 공정과 품질 관리 문서가 많이 필요해요.

  • 💻 IT 서비스: 정보보안 관련 요구사항이 더 엄격할 수 있어요.

  • 🍽️ 식품산업: 위생 관리 등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있어요.

  • 🏥 의료기기: 특별한 규제 요구사항으로 인해 준비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요.

3. 현재 업무 프로세스와 문서화 수준 📋

이미 체계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이 있다면 준비가 수월하고 비용도 절감돼요. 문서화가 잘 되어있지 않다면 컨설팅 비용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어요.

4. 사무실 수 🏢

사무실이 여러 곳이라면 각 지점마다 심사를 받아야 해요. 심사 일수와 비용이 늘어날 수 있어요.

5. 직원 수 👥

직원이 많을수록 현장실사와 인터뷰 등 심사 과정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돼요. 이에 따라 심사 일수가 증가하게되고 전체 인증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요.

6. 회사의 위치 📍

심사위원의 이동거리에 따라 출장비가 발생해요. 심사원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할 경우, 교통비와 숙박비 같은 출장비용이 추가될 수밖에 없답니다.

💡

기업과 가까운 인증기관을 선택하시면 이런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어요.

ISO 인증 비용, 구성 요소를 알아볼까요? 💰

1. 인증 취득 비용

A. 컨설팅 비용

ISO 인증을 처음 준비하는 기업에는 전문 컨설팅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컨설팅을 통해 인증에 필요한 모든 문서를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어요.

컨설팅 비용은 전문가의 경력과 업체의 규모에 따라 다양한 범위로 책정되어 있어요. 우리 기업의 규모와 특성을 고려해서 가장 적합한 컨설팅 업체를 신중하게 선택하시는 것이 좋답니다!

B. 인증 및 심사 비용

  • 신청비

    • 인증 신청비는 최초 인증 때 한 번만 발생하는 비용으로, 인증원의 신청서 검토와 기본 심사 준비를 위한 행정 처리에 사용해요.

  • 심사비

    • 인증 심사는 크게 2단계로 진행되며 각각 비용이 계산돼요.

      • 1단계 심사 (문서 심사) = 1일 심사비 × 심사 일수

      • 2단계 심사 (현장 심사) = 1일 심사비 × 심사 일수

      1일 심사비: 인증원마다 다르게 책정되어 있어요. 보통 신청기업의 직원수와 인증 종류에 따라 심사비가 달라져요.
      심사일수: 국제인정기구포럼(IAF)의 MD 규정에 따라 결정돼요

    • 두 단계 모두 같은 심사비 기준이 적용되지만, 보통 2단계가 더 자세한 심사를 하기 때문에 심사 일수가 더 길어질 수 있어요.

C. 기타 출장비

심사원님이 여러분 회사로 오시는데 필요한 비용이에요. 교통비, 숙박비 등이 청구될 수 있어요.

2. 인증 유지 비용

ISO 인증은 받았다고 해서 끝이 아니에요. 매년 실시되는 사후관리 심사와 3년마다 진행되는 갱신심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품질 관리를 입증해야 인증 자격을 유지할 수 있어요.

A. 사후심사 비용 (1년 마다)

사후심사는 ISO 인증 유지를 위해 매년 1회 진행되며, 시스템 운영 상태와 개선사항을 점검하고 자문을 제공하는 심사로, 비용은 최초 인증 비용의 약 50-60% 수준이에요.

B. 갱신심사 비용 (3년 마다)

갱신심사는 3년마다 인증서 갱신을 위해 전체 시스템을 재평가하는 필수 과정으로, 비용은 최초 인증 비용의 약 70-80% 수준이에요.

실제 인증 비용은 앞서 설명드렸던 것처럼 선택하신 인증기관, 조직의 규모, 업종의 특성과 기업 내부 프로세스의 복잡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정확한 견적이 필요하다면 꼭 인증기관으로부터 견적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hare article
✨ Conta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

Conta, ISO 인증의 모든 것